티커/CIK로 검색
상단 ‘EDGAR 빠른 조회’에서 티커 또는 회사명, CIK를 입력합니다.
EDGAR/XBRL 원천 기반 재무 데이터를 표준화해 보여주는 투자 도구입니다. 분기/연간 흐름과 증감을 한 번에 확인하고, 각 수치의 출처 문서(ACCN)로 바로 이동해 맥락을 검증하세요.
Seikon2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EDGAR에 공시되는 XBRL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투자자가 ‘핵심 수치와 맥락’을 빠르게 파악하도록 돕는 데이터 도구입니다.
단순히 표를 보여주는 수준을 넘어, 분기/연간 흐름(A/B/C), 구간 증감(A-B, B-C),
그리고 계산으로만 확인 가능한 파생 지표(예: 매출총이익=매출−매출원가)를
자동으로 정리해 한 화면에서 비교할 수 있게 설계했습니다.
● 왜 EDGAR/XBRL인가?
상장사는 10-K(사업보고서), 10-Q(분기보고서), 8-K(주요사항) 등을 의무적으로 제출합니다.
이 문서들은 XBRL 표준을 통해 수치 데이터가 함께 제공되며, ‘태그(Concept)’라는 개념으로
서술형 보고서의 수치를 기계가 읽을 수 있게 배포합니다. Seikon2는 이 태그를 직접 조회해
원천 데이터 기반으로 표를 구성하고, 누락/불일치가 있는 경우 안정적인 보조 로직으로 보정합니다.
● Seikon2의 해석 방식(요약)
- 분기 모드: QTD 중심으로 최근 3개 분기를 뽑되, 기업이 YTD만 공개하면 ΔYTD로 Q2/Q3/Q4를 합성
- 연간 모드: 회계연도(FY)별 대표치 하나를 선별(수정보고서/A 대비 원본 선호, 동일 말일이면 최신 제출 우선)
- 링크: 각 수치의 출처 Accession No.를 보존하여 해당 원문 인덱스 페이지로 직접 이동 가능
- 파생지표: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등은 공시가 누락돼도 주요 항목을 조합해 계산해 표에 주석으로 표기
● 투자 워크플로 예시
1) 티커 입력 후 IS/BS/CF 표에서 최근 분기 흐름(A/B/C)과 증감(A−B, B−C)을 훑습니다.
2) 매출과 매출총이익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믹스/원가 요인) 확인합니다.
3) 영업비용(SG&A/R&D/마케팅 등) 분해 항목을 함께 보며, 판관비율이 비정상적으로 튄 분기가 있는지 체크합니다.
4) Balance Sheet에서 유동성(현금, 유동부채)과 자본 변동(자기주식, 누적결손)을 교차 확인합니다.
5) 각 수치 옆 문서 링크를 눌러 원문 문맥을 재확인하고, 파생지표가 계산된 항목은 주석을 참고합니다.
※ 면책 및 주의
본 서비스는 교육·리서치 목적의 정보 제공이며 투자 자문이 아닙니다.
공시는 정정될 수 있고, XBRL 태그 매핑 정책은 기업마다 상이합니다.
중요한 의사결정 전에는 반드시 원문을 재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상단 ‘EDGAR 빠른 조회’에서 티커 또는 회사명, CIK를 입력합니다.
각 표는 최근 A/B/C 3개 기준으로 나열되며, 열 간 차이(A-B, B-C)를 즉시 제공합니다.
각 수치 옆 ‘문서’ 링크로 해당 분기/연간 보고서 인덱스에 바로 접근합니다.
매출총이익·영업이익이 (계산)으로 표시되면 계산식과 출처 주석을 확인하세요.
우리는 미국 현지 사이트 및 국내사이트에서 바로 수집한 1차(raw) 데이터를 우선합니다. 공시(SEC/EDGAR), REDDIT, NAVER 종목토론방, DART 재무제표(XBRL) 등을 가공 최소화로 전달해, 출처·시점이 명확합니다.
국내 다수 서비스는 블룸버그·연합인포맥스 등 2차 데이터 공급망을 통해 집계된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Seikon2는 1차 데이터 중심으로 ‘원문→근거링크’까지 함께 제공합니다.
정확도(중간 재해석 최소화), 지연시간 단축(중간 허브 생략), 추적 가능성(각 수치의 근거 링크) 때문입니다. 숫자가 바뀌면 어디서 왜 바뀌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어요.
SEC EDGAR 공시(10-K/10-Q/8-K 등), 운용사·거래소 공식 공시, 공개 경제·시장 데이터, 그리고 실시간 심리 지표용 커뮤니티 신호(예: Reddit 언급량, 네이버 종목토론 글수)를 사용합니다.
가능합니다. 핵심 지표엔 원본 페이지/파일로 이어지는 링크를 제공해, 사용자가 직접 원문을 확인할 수 있게 설계했습니다.
일부 항목은 원천 시스템 상태에 따라 초기 로딩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캐시가 형성되면 즉시 응답하며, 원문 변경 시 동기화 지연이 발생하면 화면에 고지합니다.
동일 말일(end)에 복수 문서가 존재하거나, 기업이 수정본(A)을 제출한 경우 우선순위 충돌이 생길 수 있어요. 우리는 비수정본 우선→폼 우선(10-Q>10-K>20-F…)→가장 이른 Accession 순으로 대표값을 고르고, 그 대표값의 ACCN만 링크에 사용하도록 보정했습니다.
초기 호출에서 데이터를 수집·검증하고 캐시를 준비하는 과정이 있어 일시적으로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백그라운드 수집이 끝나면 화면에 정상 표시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잠시 기다리면 완료됩니다. 같은 요청을 연속으로 여러 번 클릭하면 제한이 걸려 더 느려질 수 있으니 한 번만 실행해 주세요.
부채와 자본의 중간 성격을 가진 증권을 실무상 부르는 말입니다. 특히 미국 공시(US GAAP/SEC)에선 상환가능 우선주 등 ‘메자닌’을 자본과 부채 사이(임시자본) 구간에 별도 표시하기도 합니다.
메자닌은 CB(전환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상환·전환우선주(RCPS 등)를 포함합니다. 조건에 따라 임시자본(또는 부채/자본)으로 분류됩니다.
K-IFRS엔 ‘임시자본’ 구분이 없고 부채·자본(필요시 복합금융상품으로 분리)로 분류합니다. US GAAP/SEC 공시는 상환가능 우선주 등 일부를 ‘Temporary Equity(메자닌)’로 자본과 부채 사이에 별도 표기할 수 있습니다.
상환의무(만기·투자자 옵션)가 있으면 K-IFRS에선 보통 부채(또는 복합)로, US GAAP에선 임시자본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상환의무 없고 배당이 재량이면 자본으로 보는 게 일반적입니다.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고정대가-고정수량’이면 자본요소로 볼 여지가 크고, 그렇지 않으면 파생부채로 분리 측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행자는 희석·현금유출을 조절하면서 자금조달 유연성을 얻고, 투자자는 하방 보호(배당·상환권)와 상방 참여(전환·워런트)를 기대합니다.
희석(전환/워런트), 상환·조기상환 트리거, 금리/배당 부담, 공시·회계 복잡도(복합분리, EPS 희석) 등입니다.
CB, BW, RCPS(상환/전환우선주), 상환가능 우선주 등입니다. 조건(상환·전환·배당)에 따라 부채/자본/임시자본으로 달라집니다.
제휴/피드백: ghoon1226@gmail.com
본 서비스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닙니다. 오류 신고는 위 메일로 알려주세요.